문득 떠오른 단상. 이런 건 까먹기 전에 써야 오래도록 남고, 또 나중에 잘 정리해서 쓸 수 있다.
  내가 아직 군에 있을 시절에 썼던 글 중에 <'탈근대적 거짓말'에 대하여>라는 글이 있다. 그리고 이 글에서 나는 이런 말을 했다.

[……]그리고 경제구조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전세계는 아직 근대 - 제국주의와 약탈과 정복을 기반으로 한 - 를 벗어나지 못했다. 자본주의 생산-소비 체제는 아직도 유지되고 있으며, 그 구조는 오히려 점점 견고해지고 있는 것이다. 인류의 자연사적 필연은 '공산사회로의 이행'이 아니라 '자본주의 사회의 견고화'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탈근대' 논의는 먹고 사는 문제, 즉 '경제구조'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절대 무의미하다. 그런 의미에서 '탈근대적인 자본주의 사회'는 '풀만 먹는 호랑이'라는 말과 똑같다. 그런 것은 아직 등장한 적이 없으며, 아마 앞으로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다시 읽으면서, 이 부분이 눈에 확 들어왔다. 우리가 탈근대 사회에 대한 관념을 가질 수 있지만, 그리고 또 그것을 이룩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이 실제로 성립되지 않는 것은, 그것이 현실에서 무력화(無力化)되기 때문이다. 그게 왜 현실에서 무력화되는가? 그것은 우리가 발 딛고 있는 현실이 자본주의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여기서 한 가지를 분명히 지적할 수 있다. 자본주의 문제의 해결 없이, 우리는 근대와 그것의 폐해로부터 절대로 벗어날 수 없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우리가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는 '먹고 사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것이 없이 추구하는 이상(理像)은 결국 그냥 공상으로 끝나기 쉽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만 '생존'이 가능한데, 그 '생존'의 문제가 매여 있는 한은 '이상의 추구'도 '탈근대화'도 뜬구름 잡는 소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개줄에 묶인 개가 아무리 멀리 벗어나려 한다고 해도 다시 개줄이 묶인 말뚝으로 돌아올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근대의 성립은 자본주의의 탄생과 그 궤를 같이 했으며, 그 성장 또한 함께였다. 그러므로 우리가 탈근대를 이야기하려면 반드시 자본주의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이것을 말하지 않고 탈근대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든 사람은 사기꾼이다. 그들을 믿지 말라.

2007/01/13

Trackback Address :: http://imperfectworld.cafe24.com/tt/trackback/172

  1. 未完 2008/04/27 01:46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댓글

    茶緣 ::: 동감. 2007/02/19

    대현 ::: 탈근대가 나온 이유는, 사회주의가 망했기 때문이지. 2007/03/14

◀ PREV : [1]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39]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