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가 법석을 떠는 셈치고 젊은 사람들은 극히 정상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젊은 사람들은 이런 세상을 아직도 수십 년 살아나가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뭔가가 잘못 돌아가고 있다'라는 등의 한가한 소리를 하고 있을 짬이 없는 것이다.[……]

- 무라카미 류,『사랑에 관한 달콤한 거짓말들』중에서

--------------------
  복학을 하고 나서 많이 바쁘다. 우선 오랜만에 수업을 들으니 그것이 바쁘고, 둘째로 이번 학기의 명확한 목표 때문에 바쁘다. 하지만 무엇보다, 사정이 있어 집에서 다니니 바쁘다. 학교까지는 짧게 잡아도 두 시간 거리. 왕복 네 시간의 거리다.
  그래서 복학 첫 주 금요일에도, 나는 지하철을 타고 학교로 가는 중이었다. 금요일은 그나마 수업이 늦게 있어서 여유롭게 갈 수 있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도 많지 않다. 나는 지하철을 타면 늘 서 있는 자리로 갔다. 문과 의자 사이에 있는 공간이다. 거기에 등을 기대고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 콜로니얼'을 읽으면서 가고 있는데, 전동 휠체어를 탄 남자가 올라탔다.얼핏 봐도 다리가 불편한 듯 싶었고, 왼팔은 없는지 양복을 팔꿈치가 있는 부분 정도에서 묶어놓고 있었다. 그리고 지팡이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있었다.
  남자의 휠체어가 지하철에 올랐을 때, 차내에는 커플로 보이는 남녀가 서 있었다. 사십대 중반으로 보이는 휠체어 남자는 커플이 있는 방향으로 전동차을 돌리려고 했다. 두 남녀는 어디로 비켜줘야 할 지 몰라 당황했고, 잠시 뒤에 휠체어의 방향을 바꾼 남자는 지팡이로 남자의 다리를 툭 치고는 말했다. "하느님이 주신 비싼 밥 먹고 왜 욕을 먹나?" 나는 이때 직감했다. 내가 당장 내려서 다음 차를 타야 함을. 그러나 그렇게 하면 수업시간에 넉넉히 댈 수 있을지 알 수 없었다. 결국 나는 그냥 타고 가기로 결정했다.
  휠체어를 탄 남자는 차내의 한 가운데로 나와 설교를 시작했다. 나는 단순히 "예수천국 불신지옥" 식의 장광설일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다. 내용은 주로 이 시대의 젊은이들을 고발하는 식이었다.

  "이 시대가 어떤 시대입니까. 남자가 여자옷을 입고, 여자가 남자옷을 입고, 자리에 앉으면 어른에게 양보하지도 앉고, 다리를 꼬고, 서 있는 어른들에게 발을 살랑살랑 흔들고 있습니다. 남녀가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길거리에서 서로를 껴안고, 서슴없이 칠칠맞은 웃음을 흘립니다. 여러분, 이 시대를……"

  그는 한 두 번 해본 게 아닌 듯 막힘없이 술술 이야기해 나갔다. 물론 그건 이야기라기보다는 동일한 내용을 다른 형식으로 반복하는 것이었지만, 어쨌든 혀도 깨물지 않고 잘도 얘기하는 것이 신기할 정도였다. 그는 주로 어른들이 무시당하는 설움, 자녀세대의 버르장머리 없음 등등을 주절주절 늘어놓았다.
  차내에 있는 사람들의 반응은 별로 없었다. 열렬히 환호하는 사람도 없었지만, 반대로 시끄럽다고 말하는 사람도 없었다. 아마 그는 장애인이라는 것을 훌륭한 방패로 삼고 있을 것이다. 그의 설교는 계속 이어졌다.

  "왜 아까운 시간을 낭비합니까. 어째서 그 귀한 하느님이 주신 몸을 함부로 굴립니까. 도대체 왜 살아갑니까. 시간이 아깝지 않습니까. 이 시대는 희망이 없습니다. 다음 세대에게는 아무런……"

  이 대목에서 나는 열차를 빠져나올 수 있었다. 전동차에서 내리며 나는 생각했다.  이전 세대는 항상 그 다음 세대가 한심하다고 생각했다. 그건 고대건 중세건 근대건 마찬가지다. 그리고 그것의 가장 큰 이유는, 전 세대가 살아온 날들이 다음 세대가 살아가는 날들과 많이 다르기 때문이며, 동시에 다음 세대는 계속 살아가야 하므로 뒤를 돌아볼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과거는 모두 좋게만 보이는 법이다.
  그의 말은 그에게 그대로 돌려줄 수 있는 것이다. 당신은 무엇인가? 어째서 그런 말을 공공장소에서 하느라 시간을 보내고 있는가? 왜 귀한 시간을 그렇게 낭비하는가? 그건 아마 당신에게 더 이상 해야 할 일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할 게 많고, 함부로 살아갈 여유조차 없다. 그래서 당신과 같은 말을 할 여유도 없다. 나는 앞으로 계속해서 살아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わたしがいちばんきれいだった時
내가 가장 예뻤을 때

茨木のり子
이바라기 노리코


わたしがいちばんきれいだったどき
내가 가장 예뻤을 때
まちはガラガラと壊れ
거리는 와르르 무너져내리고
思いがけないどころから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青い空のようなものが見えたりした
푸른 하늘 같은 것이 보이곤 했다

わたしがいちばんきれいだったどき
내가 가장 예뻤을 때
周囲のひとだちがたくさん死んだ
주위의 사람들이 많이 죽었다
工場で海で名もない島で
공장에서 바다에서 이름없는 섬에서
私はおしゃれのいとぐちを失ってしまった
나는 멋부릴 구실을 잃어버렸다

わたしがいちばんきれいだったどき
내가 가장 예뻤을 때
だれもやさしいおくりものを下さらなかった
아무도 아름다운 선물을 주지 않았다
男たちは挙手の敬礼だけしか知らず
남자들은 거수 경례밖에 몰랐고
清潔なまなざしを残してみんなたって行った
깨끗한 눈빛을 남기고 모두 사라져 갔다

わたしがいちばんきれいだったどき
내가 가장 예뻤을 때
わたしの頭は空っぽで
내 머리는 텅 빈 채였고
わたしのこころはにぶく
내 마음은 무디어
手足だけが栗色にかがやいた
손발만이 밤색으로 빛났다

わたしがいちばんきれいだったどき
내가 가장 예뻤을 때
わたしのくには戦争に負けた
내 나라는 전쟁에서 졌다
そんなたわいないこともあるものかと
그런 어이없는 일도 있는걸까 하며
ブラウスの腕をましくあげて卑屈なまちをわたり歩いた
블라우스의 팔을 걷어올리고 비굴한 거리를 쏘다녔다

わたしがいちばんきれいだったどき
내가 가장 예뻤을 때
ラジオからはジャズが溢れていた
라디오에서는 재즈가 넘쳐 흘렀다
禁煙を破ったどきのようにめまいがした
담배를 다시 피웠을 때처럼 현기증이 났다
わたしは異国の音楽をやたらに楽んだ
나는 이국의 음악을 마음껏 즐겼다

わたしがいちばんきれいだったどき
내가 가장 예뻤을 때
わたしはもっとも不幸だった
나는 가장 불행했다
わたしはもっとも馬鹿であった
나는 가장 어리석었다
わたしはもっともさびしかった
나는 가장 쓸쓸했다

だから決心した 出来ることなら永く
그래서 결심했다 가능한 한 오래
 生きることを
  살아야 한다고
年取ってから非常に美しい絵をかいだ
나이를 먹고나서야 몹시 아름다운 그림을 그린
フランスのルオじいさんのように
프랑스의 루오 할아버지 처럼


*  죠르주 루오(Georges Rouault, 1871~1958) :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프랑스의 종교화가. 어려서부터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나 그의 예술이 본격적으로 확립된 시기는 50세 이후였다.

원문 :『일본名詩選』,김희보 편저, 종로서적, 1993
번역 : 자가번역

--------------

  이바라기 노리코(茨木のり子)는 1926년에 태어난 일본의 시인으로, 일본이 패전했을 때 열 아홉살이었다. 그녀는 전후 일본 시단에서 여성시인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했으며 이 시 '내가 가장 예뻤을 때'는 국정교과서에도 실렸다. 1990년에는 '한국현대시선'을 번역, 출간하기도 했다. 2006년 2월, 79세의 나이로 이 세상을 떠났다. 그녀의 결심은 실현된 셈이다.

[……]안전벨트를 꼭 매야 하는 이유는? 한국인이 모여 사는 미국 한 지역의 운전면허 필기시험 문제다. 이 객관식 문항에서 한국인은 주로 ③번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라는 답을 고른다.
  가장 정답 같아 보이기 때문인데, 그것은 틀린 답이다. 정답은 ④번 '그것이 법이니까'이다. 한국인들을 골탕 먹이는 함정문제라고 고약하게 여길 수도 있겠지만, 미국사회의 엄정한 법 집행 의지와 준법의식을 되새길 수 있다고 여기면 마음이 편하다. 미국인들이 어떤 경우에도 폴리스 라인을 범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처벌이 전제된)법이니까'이다.[……]

- 정병진 논설위원,『한국일보』2006년 9월 13일자 '지평선'중에서

--------------------
  일전에 강준만이 한국일보에 '도덕과 도덕주의'라는 칼럼을 쓴 적이 있는데, 그것은 '다른 이들에게는 도덕주의의 잣대를 내밀면서 스스로의 도덕은 확보하지 않는' 정치판을 향해 던진 쓴소리였다. 강준만은 그 이야기를 정치인들에게 하고 싶었겠지만, 나는 그것이 한국인들의 전반적인 성향 중 하나라고 본다.
  위 인용문에서도 느낄 수 있는 것이지만,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소위 '모범답안'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무엇이 가장 '도덕적'인지에 대해서 거의 본능적이라 할 정도로 잘 알고 있다. 아마도 그것은 미취학 아동 시기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심지어는 대학교 시절마저 '모범적인 답'을 주입시키는 우리 교육체계에 가장 큰 원인이 있을 것이다.
다들 그렇게 '도덕적'인 게 뭔지 잘 알고 있는 건 문제가 안된다. 오히려 좋은 일이다. 아예 무도덕의 혼란상태에 있는 것보다는 훨씬 나을 것이다. 그러나 진짜 문제는, 그것을 정말 '답'으로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것이다. 다들 겉으로는 그게 '도덕적'이라고, 지켜야 한다면서 속으로는 그걸 비웃는다. 지키는 사람이 바보라고 생각하고, 손해보는 일이라는 감정을 바탕에 깔고 있다.
  이게 강준만이 말하는 '도덕과 도덕주의'가 현실적으로 작동하는 메커니즘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도덕적인 것', '모범적인 것'에 대한 주입은 잔뜩 되어 있는데, 그것이 체화되어야 하고 현실에서 효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아무도 믿지 않고 또 가르쳐주지 않기 때문에 남들에게는 '도덕'의 잣대를 들이대면서 그 잣대를 자기 자신에게는 대어보지 않는 것이다. 원래 이런 형이상학적인 문제는 현실과 이상 사이의 괴리가 클수록 그것이 '당연하다'는 인식이 쉽게 형성된다. 그 간격이 작으면 그걸 어떻게든 메꿔보려 애쓸텐데, 그렇게 애쓰는 것이 무의미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그걸 당연하다고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이 어째서 나타나는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로 해석할 수 있겠지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가 줄곧 혼란상태였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유효하다. 조선 말기의 외세침략, 개화기의 혼란, 일제 강점기의 식민통치, 해방기의 아노미, 한국전쟁, 이후의 기나긴 독재통치. 죽 늘어놓고 보면 거의 150여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사람들은 뭔가 '제대로 믿을 건덕지'를 전혀 갖지 못했다. 위정자가 겉으로 내세우는 것과 현실은 항상 달랐고, 그 현실이 썩 안정된 것도 아니었다. 이러니 (또다시 강준만이 이야기하는) '각개전투의 국민성'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믿을 것은 '내 몸뚱아리 하나' 밖에는 없는 사회. 그런 사회속에서 개인은 자기 자신과 자신을 중심으로 한 가족 밖에는 믿을 수 있는 대상이 있을 리 없다. 그러니 다들 공교육 대신에 어마어마한 사교육비를 들여 자식들을 교육시키고, 국가의 사회보장 시스템 대신에 종신보험과 펀드와 부동산을 믿는 것이다.
  개개인이 열심히 사는 것이야 별로 나쁠 것이 없겠지만, 내가 제일 걱정하는 것은 이것이 '정당화'되어 굳어지는 것이다. 다들 세금은 별 저항없이 납부하는데, 정작 어떤 일이 생기면 나라에 그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대학 등록금이 비싸면 세금을 걷은 국가가 그 세금으로 등록금을 낮추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등록금을 위해 피땀흘려 일하기 바쁜 것이다. 의료비가 너무 비싸면 국가가 그것을 보조해야 한다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야 하는데, 입원비와 치료비가 너무 비싸 견디지 못하고 자살한다. 시스템이 시스템의 역할을 제대로 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식으로 말하자면 효율적으로 기능하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개인을 개인으로서 온전히 존재하도록 자유롭게 놔주지도 못하기 때문에 불신할 수밖에 없다. 효율적으로 기능하면 그 시스템이 개인을 타이트하게 조이더라도 버티고 살아갈 수 있을테고, 온전히 존재하도록 놔두면 간섭없이 살아갈 수 있을텐데 그렇지도 못하다(그 정점이 징병제도다). 이 시대의 한국인이 믿는 시스템은 '공무원' 뿐이다. 세금으로 만들어진 시스템이 납부자에게 작용하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그 시스템 속에서 안정을 얻기를 바란다.
  이런 경우 선택은 두 가지다. 시스템을 최대한 거부하든가, 시스템에 최대한 종속되는 것이다. 시스템을 최대한 거부하면(어차피 완벽한 거부는 이 나라에서 살아가는 한 불가능하다) 그 삶은 물론 안정되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나 시스템을 믿을 수 없는 인간에게는 그것이 최선의 선택이다. 그리고 그 삶을 살아나갈 자신감이 있다면 불안정은 아무 문제가 안된다. 인생은 본래 불안정한 것이니까(당신이 언제 죽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당신조차도 모른다, 당신의 죽음임에도 불구하고). 반면에 시스템에 종속된다고 해도 무조건 편한 삶은 아니다. 그 안에는 나름의 규제와 나름의 불안정이 존재한다. 인생이 본래 그런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나는, 당신은 무얼 택해야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