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자본'을 읽으면서 여러가지 고민을 했고 다른 사람들과 많은 이야기를 했다. "그 책은 이미 죽어버린 것이 아닌가?" 사실 그렇지는 않다. 요즘 월 스트리트에서 꽤 잘 나가는 게 '자본'이라고 한다. 최근 파이낸셜 타임즈에서는 '신 자본주의'를 특집 기사로 전하면서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인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자본'은 현재를 설명할 수 있는 책인가? 물론 그렇지는 않다. '자본' 이후에 수많은 사람들이 '자본'의 문제점을 지적하거나 보완하려고 했다. 적어도 내가 읽어본 바로는, '자본'의 이론은 100% 완벽하게 현대의 현실을 설명해줄 수 없다. 그것은 시대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필멸자인 인간의 산물로서는(그것이 사상이나 분석이라 할지라도) 필연적인 것이다. 맑스는 우리 시대를 경험할 기회를 가지지 못했다.
  결국, 나는 밑에 쓴 글로 대답을 대신할 수밖에 없다. 맑스의 저작이 단지 '사회학 서적'으로만 읽히지 않는 것은, 그가 철학적인 자세로 문제를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그가 현대의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것은 '우리가 진정으로 싸워야 할 문제가 무엇인가'에 관한 실마리이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속속들이 해부해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일정 부분에서는 그러한 역할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그는 헤겔의 관점을 이어받아 인간 존재를 근본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했고, 그것은 그의 저작 '자본'에 매우 잘 드러나 있다.
  만일 세상에 나온지 100년이 훨씬 지난 서적이 세상의 모든 문제를 설명해줄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면, 그것은 환상에 불과하다. 우리는 '국부론'을 그렇게 읽지 않으며, 아담 스미스의 주장에서 무엇이 틀렸는지를 이미 알고 있다. 그것은 맑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그는 부정될 수 없는 신적 존재가 아니며, 그의 사상 역시 마찬가지다. 우리는 다만 그가 말하는 것 중에 무엇이 우리에게 쓸모있는가를 찾으면 그만이다. 그것은 100년도 넘은 니체의 철학을 우리가 아직도 읽고 있는 이유와 다르지 않다. 무엇에 대항하여 싸워야 하는가 - 그것은 당시에도 지금도 유효한 질문이며, (100년이 됐든 1000년이 됐든) 그 질문에 대답하는 책만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Trackback Address :: http://imperfectworld.cafe24.com/tt/trackback/178

  1. 박준연 2007/07/04 00:27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댓글

    자본론을 읽어볼까.

    백승욱교수님의 압박과

    제 동기도! 본다는데! (흠흠...ㅋ)

    저도 봐줘야죠.

    ...혼자서 읽을 수 있을지 심히 걱정되네요.

    *

    자본론은 정치경제학 서적이다.

    모르겠다. 지금의 시대에 맑스의 경제학이 통용될 수 있을까.

    맑스를 거쳐 포스트맑스까지 간다면 통용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안봐서 잘..)

    확실한건. 지금의 시대에도. 아니 지금의 시대이기에.

    맑스의 정치와 맑스의 철학은 통용됩니다. 아니 필요하겠지요.

    좀 오만방자를 떨자면.

    세상을 직시하겠다면서 어떻게 맑스를 보지 않을 수 있겠어요.

    이런 저런 책들을 읽으며 절실하게 느끼는 건데.

    과거로의 회귀가 100년이 넘아가는 책들은 참 난감해요.

    다들 주위에서 중요하다하니 읽긴 읽어야 되는듯 하고

    ..아무리 봐도 재미없으니. 거참.(그나마 소설은 좀 나은 편.)

    거기다가 사회적, 경제적 서적들은 고전의 경지를 넘어 암호문의 경지에 다다를 정도니..

    여기에 시간적인 갭 뿐만이 아니라 '현실에서의 패배'라는 갭까지 안고있는 책이 있으니

    ..망할.. 그이름도 유명한. 자본론 -_-;

    *

    자본론의 의의랄지, 필요성이랄지...그런 것 까지 설명이 필요치는 않을거 같아요.

    걍.

    자본론은 '자본'에 대한 분석이다. 강조하지만, 분석이요. 그것도 100년 전의.

    사회적 약자를 위하여. 라는 타이틀을 붙이고 싶으면

    차리라 사회복지 관련 서적을 찾아보는게 낫을듯.

    (안그러면 '자본론'을 굉장히 선택적으로 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지도.)

    자본론은, '자본의 구조'에 대한 경제학 서적, 또는 철학적 방법론에 대한 서적이죠.

    *

    자본론을 펴들고 읽기 시작하면 '현실적인가?'라는 의문이 머릿속에서 떠나질 않아요.

    어쩌겠어요. 100년 전 책인 것을.

    특히 '노동'을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기본 전제 부터가 생소하기 짝이 없죠.

    생소할 뿐만 아니라 의심을 일으키죠. 뭉게뭉게.

    우리는 '생산'이 아닌 '소비'의 사회에 살고 있으니.

    그래서 저는 몇단계 돌아가기로 했어요.

    1. [자본론의 세계] - 강신준 지음(이하 '세계')

    2. [자본을 넘어선 자본] - 이진경 지음(이하 '자본')

    3. [자본론] - 김수행 역(이하 '자본론')

    '세계'는 군대에 있는 좌파 선임이가 소개해준 책이에요. 최대 장점은! 쉽다! 그리고 (제가 보기엔)

    고전적인 시각에 충실해 있다. 자본론의 무수한 경제 법칙들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쉽게 풀이해 준다. 읽다보면 무수한 의문점들이 머리를 강타한다.

    개념 정리가 굉장히 잘되어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정도.

    읽다보면 학내의 다함께 분들과의 논쟁점들이 다시 떠오르네요.

    뒤돌아보면 창피하기만 할뿐 ;;

    '자본'은 내가 열렬히 사모하는 *-_-* 수유연구소의 분위기를 그대로 이은 책이구요.

    간단히 말해 '포스트' 라고 할 수 있을 듯. 자본론 자체에 충실하기 보다는 그것에 대한

    해석과 적용에 대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죠.

    '자본론' . 돌고 돌아 드디어 도착한 고향. 제대로 안읽어봐서 모르겠지만.

    아직도 고민중이에요. 1권만 읽으면 될까?

    아니면 그 이후로 계속 읽어야 할까.

    *

    그래도 그동안 자본론에 대해 주워들은게 있어서 '세계'에 대한 정리는 오늘 끝났어요.

    내일부터는 '자본'으로 넘어가야지...

    군대온 김에 '자본론'을 보기로 결심한지 한 5개월은 된것 같아요.

    자본론을 뒤적거리기도 하고, 인터넷에서 자료를 다운받아 보기도 하고(맑스주의포럼 강추..)

    몇번의 시행 착오 끝에 이제 좀 스케줄을 잡을 수 있었죠.

    언제까지 자본론을 붙잡고 있을지 모르겠어요.

    적어도 한달은 잡고 있지만, 이 세권이 끝일 리가 없겠죠.

    자본론을 시작으로 하는 길고 긴 역사가 펼쳐져 있으니.(레닌에서 네그리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未完 2007/07/04 01:55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댓글

    친구에게 듣자하니, 삼성에서도 '자본'을 사원들에게 읽힌다고 하는군요.

  3. 茶緣 2007/07/04 22:53 댓글주소 | 수정 | 삭제 | 댓글

    난 원영의 친구가 맞구나..ㅎ

◀ PREV : [1] : [2] : [3] : [4] : [5] : [6] : [7] : .. [39]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