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제학에 대해서 최근 생각한 것.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은 상품이 만들어지는 노동의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자유주의 경제학(주류 경제학)은 상품이 유통되는 과정에 중점을 둔다.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은 자본이 잉여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부분이 '노동가치와 임금의 차이'라고 말하는데, 이것은 다시 말하자면 '노동자의 임금은 그의 노동을 100% 교환가치로 전환했을 때보다 항상 적다'는 것이다. 자본이 상품을 만들 때 드는 비용은 '고정 비용'과 '비고정 비용'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계의 유지/보수나 건물의 임대비용, 세금, 유통비용 같은 것들은 고정적이므로 쉽게 줄일 수 없다. 결국 자본가가 잉여가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노동자의 임금을 그것이 본래 받아야하는 가치보다 덜 주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논리가 노동권의 신장에 주된 역할을 했으며, 나 역시 이것이 잉여가치의 본질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주류경제학은 이것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들이 말하는 것은 '상품'의 '수요-공급'에 해당한다. 그리고 '노동에 의한 잉여가치 생산의 구조'는 이 속에 자연히 포섭되는 것이다. 소비자의 수요가 있고, 그에 따라 가격은 조정된다. 그리고 그 가격에 따라 고정비용을 제외한 나머지가 노동자의 임금이 되는 것이다. 주류 경제학은 여기에 대해 아무런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한다.
  나 또한 이 논리가 타당하다고 생각했으나, 문제는 다시 이 지점에서 발견될 수밖에 없다. 오로지 '노동자의 임금'에 의해 상품의 가격이 탄력을 갖게 된다면, 자본가는 순수하게 시장의 균형에 따라 움직인다고 말할 수 있는가? 물론 시장을 '완벽'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 밀턴 프리드먼 같은 - 은 그렇게 말할지도 모르겠으나, 인간은 그것에 조정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양이 사자에게 잡아먹히는 것은 자연의 법칙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힘이 약한 인간이 다른 강한 인간에게 무릎 꿇는 것이 반드시 인간의 법칙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주류 경제학자들은 잊고 있는 것 같다. '천재 유교수의 생활'이라는 만화에서 주인공 유택은 경제학과 교수이다. 그는 항상 '경제학은 인간의 학문이다'라는 것을 강조한다. 경제는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동시에, '경제는 인간적이어야 한다'는 명제를 - 당위로서가 아니라 연역적 추론으로서 - 강하게 요청한다.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것, 거기에는 동물과는 다른 방식의 무엇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데에 나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2

  뉴턴은 데카르트와 함께 근대의 두 아버지로 불리는 사람이다. 그러나 몇 년 전에 밝혀졌듯이, 뉴턴의 근대적 과학연구는 그의 생애에서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가 대부분 전념했던 것은, 연금술과 그노시스(gnosis, 영지주의) 연구였다. 그는 '최초의 근대인'보다는 '마지막 중세인'이라는 말에 더 걸맞는 사람이었다.
  가라타니 고진은 '근대문학의 종언'이라는 책에서, 줄곧 자신이 기대했던 문학에 대한 실망감을 표현하고 있다. 그의 주된 논지는 문학이 지금까지 맡아왔던 책무를 이제는 더 이상 맡을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는 그런 문제가 더 이상 중요치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것에 대해 문학에게는 더 이상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예로 드는 작가 중 한 명이 무라카미 하루키이다.
  나는 이 논리에 대해 아주 강한 회의를 품고 있다. 뉴턴과 마찬가지로, 하루키는 '근대문학에서 벗어난 첫번째 세대'라기보다는 '마지막 근대문학자'라고 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왜냐하면 고진이 말하는 이른바 '근대문학'의 특징이 사회에 대한 관심과 의견의 표출인데, 하루키는 그것을 멈추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오히려 그것을 교묘하게, 지금 세대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진행시키고 있을 뿐이다.
  하루키를 '처형'했다고 하는(김춘미 교수) 고모리 요이치의 글은 아직 읽어본 적이 없지만, 하루키를 비판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월드 와이드 웹(WWW)과 동시대에 태어난 우리에게 어필하는 문학이 무엇인지를 잘 모르고 있다. 고진의 말대로 국가와 자본, 네이션의 운동은 끝난 게 아니며 오히려 지속되고 있다. 문학이 만약 그 임무를 맡는다면, 그것은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마땅하다. 그런 의미에서 하루키의 소설은 이른바 '근대문학'의 틀을 '형식'에서는 벗어났을지 모르나, '문제의식'에서는 연장선상에 있다. 그는 국가와 자본의 운동에 극히 강하게 저항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하게 읽힌다고 해서 반드시 소프트한 주장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독자의 문제의식이 소프트한 것에 불과하다.

2007/03/08

Trackback Address :: http://imperfectworld.cafe24.com/tt/trackback/173

◀ PREV : [1]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 [39] : NEXT ▶